예전에도 정치커뮤니케이션 관련 수업을 들은 적이 있지만,
한 권으로 정리된 교재가 없어 여러 책을 쌓아놓고
부분적으로 참고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언론과 정치에 대한 연구가 한 권으로 정리된 책이
나와서 유익한 것 같습니다.
수업시간에 활용도도 높은 것은 물론이구요.
국내 정치에 관심이 많은 대학생이라면 권장할만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연구가 시작된 지 50여 년이 흘렀지만, 우리 실정에 맞는 제대로 입문서는 없다. 이 책은 언론학과 정치학을 전공한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학도들은 물론이고 현대 정치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 특히 선거에서의 미디어 캠페인에 관심이 많은 정치인과 언론인, 그리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미디어를 통한 정치참여에 관심을 지닌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제1부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방법’에서는 먼저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효과론의 소개 및 최근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가장 자주 연구되는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부 ‘선거, 미디어 캠페인, 정치광고’에서는 정치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주제인 선거, 미디어 캠페인 그리고 정치광고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다루었다. 제3부 ‘정부, 미디어보도, 여론’에서는 먼저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모델을 소개하고, 국내 정부와 언론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제4부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의 다양한 형태를 살펴보고, 최근 온라인상에서 형성된 공중의제사례를 통해 새로운 의제설정모델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제1부 정치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방법
제1장 대표적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이론의 개요?양승찬
제2장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변수와 연구방법?이준웅
제3장 이미지, 이슈, 정치적 관리, 민주주의?최영재
제4장 정치메시지 구성과 유권자반응 조사를 위한 방법?김태용
제2부 선거, 미디어 캠페인, 정치광고
제5장 현대 선거에서의 매스미디어 캠페인의 역할?이강형
제6장 공직후보 TV토론?송종길
제7장 정치광고의 주요 쟁점?김광수
제8장 한국의 미디어 선거캠페인과 법적 규제?김춘식
제9장 정치인의 이미지형성과 회복전략?강미선
제3부 정부, 미디어보도, 여론
제10장 언론과 정부의 관계?양승목
제11장 한국언론의 선거보도 특성?권혁남
제12장 미디어와 여론?손영준
제13장 폭로저널리즘과 민주화의제 형성, 그리고 서울시민의 반응?심재철
제4부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제14장 인터넷과 정치참여?황용석
제15장 인터넷을 통한 정치의제 형성과 파급?김성태
제16장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온라인 시민참여?김용철?윤성이
카테고리 없음